분자생태학연구실 (Molecular Ecology Lab)


  ● 담당 교수 : 박범수 (Park, Bum Soo)
 
  ● 연구실 소개
   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분자 생태학적 연구기법을 활용하여, 수계(해양/담수) 내 식물플랑크톤과 세균 사이의 생태학적 상호관계를 이해하고, 이를 기반으로 식물플랑크톤 기원 고부가 물질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합니다.

  ● 연구주제
- 식물플랑크톤 세포 내 공생세균(endosymbiotic bacteria)의 군집 특성 및 공생기작 연구
- 식물플랑크톤 세포 내/외 공생세균의 숙주 특이성(host-specificity) 기작 연구
- 수계에서 적조/녹조 발생시 세균 군집 생태학적 역할 규명
- 생태학적 공생관계를 활용한 응용연구: 상업적으로 활용가능한 식물플랑크톤(바이오에너지, 의약품, 사료 등)의 바이오매스 생산 증진 기술 개발
 
  ● 주요 연구실적
- Potential effects of bacterial communities on the formation of blooms of the harmful dinoflagellate Prorocentrum after the 2014 Texas City “Y” Oil Spill (USA). Harmful Algae, 95, 101802 (2020).
- Sexual Reproduction and Genetic Polymorphism within the Cosmopolitan Marine Diatom Pseudo-nitzschia pungens. Sci. Rep., 10, 10653, (2020).
- Can algicide (th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) truly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? Environ. Res., 173, 517-527, (2019).
- Pelagibaca bermudensis promotes biofuel competence of Tetraselmis striata in a broad range of abiotic stressors: dynamics of quorum sensing precursors and strategic improvement in lipid productivity. Biotechnol. Biofuels, 11, 102, (2018).